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5

2025년 자기계발을 위한 무료 온라인 강의 플랫폼 4선 요즘처럼 빠르게 변하는 시대, 자기계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죠.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과 비용을 들여 오프라인 강의를 듣는 건 쉽지 않습니다.다행히도 무료로, 집에서, 언제든지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들이 다양하게 있어요.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퀄리티와 실용성을 모두 잡은 ‘무료 온라인 강의 플랫폼' 4곳을 소개해 드릴께요.   🎓 ① K-MOOC (케이무크)주소: www.kmooc.kr주관: 교육부특징: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국내 주요 대학의 강의를 무료로 수강 가능강의 분야: 인문, 경영, 컴퓨터공학, 심리학 등 다양자격증 발급 가능(이수 기준 충족 시)추천 대상: 기본 개념을 탄탄히 다지고 싶은 사람, 공신력 있는 강의 선호하는 분💡 TIP: 관심 강의는 ‘즐겨찾.. 2025. 4. 11.
자녀장려금 신청 대상 및 신청 방법 5월은 근로장려금을 신청하는 달이기도 하지만 자녀장려금을 신청하는 달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자녀장려금 신청방법 및 지급 금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포스팅에 앞서, 근로장려금을 아직 신청하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가 해당사항이 되는지 확인하시고 얼른 신청하세요! 먼저, 1. 자녀장려금이란 무엇일까요? 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총소득(부부합산) 4,000만원 미만이면서 부양자녀(18세 미만)가 있는 경우, 1인당 최대 80만원(최소 5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로 총 소득 기준을 제외한 나머지 수급요건은 근로장려금과 동일합니다. 자녀장려금은 정기신청만 이루어지는데요. 가구유형에 따라 자녀장려금 지급액이 아래와 같이 나누어집니다. 구 분 단독가구 홑벌이가구 맞벌이가.. 2023. 5. 9.
근로장려금, 혹시 저도 해당될 수 있을까요?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인데 나는 신청 해당이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으실 거에요. 이 글을 보시면 내가 해당이 되는지,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께요. 근로장려금에 이어 자녀장려금도 신청하실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먼저, 근로장려금이란 무엇일까요?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 제외) 가구에 대해 가구원 구성과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하여,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근로장려금은 먼저 정기와 반기로 나뉘어집니다. 구 분 정기신청 반기신청 신청대상자 22년에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이 있는 거주자 22년에 근로소득만 있는 거주자 대상 장려금 근로장려금, 자녀장려.. 2023. 5. 7.
온라인서점(yes24, 알라딘, 교보문고) 배송정책 유료배송 무료배송 방법 오늘은 우리나라 대표 온라인서점 4곳인 예스24, 알라딘, 교보문고, 인터파크에서 최근 배송정책이 바뀐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블로그를 읽으시는 여러분들은 책을 많이 구매하실 것 같은데요, 이제 점점 가벼운 마음으로 책을 구매하는 것도 힘들어지지 않을까 걱정이 앞섭니다. 국내 온라인 서점들은 올해 2월부터 무료배송 기준을 기존 1만원에서 1만 5000원으로 일제히 올렸습니다. 아마도 배송비 인상과 책값 할인율 제한 등의 요인으로 인해 조치한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각 서점들의 배송 정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예스24는 1만 5000원 이상 주문시 배송비가 무료입니다. 알라딘은 중고상품을 제외한 도서류 1종이상을 포함해 비도서류 등 1만 5000원 이상이면 배송비가 무료입니다. 교보문고는 1만원 이상 .. 2023. 3. 14.
청년도약계좌, 나도 가입 할 수 있을까? 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을 통해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정책 상품으로, 윤석열 정부의 국정 과제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2023년 청년도약계좌라는 금융 상품을 추천해드리고자 해요. 청년도입계좌 개요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만기는 5년이에요. 가입대상은 만 19~34세의 청년으로 개인소득 기준이 적용됩니다. 총 급여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가 적용되며, 총 급여 6,000~7,500만원은 정부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만 지원된다고 하니 눈여겨 볼 만한 상품인 것 같아요. 아래 표를 살펴볼까요? 가입 대상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만 19~34세 청년 정부 기여금 소득과 납입금에 따라 월 최대 24.. 2023. 3. 12.